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안심마을보안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안심마을보안관은 1인가구를 비롯한 서울시민들의 생활안전과 범죄예방을 위해 심야시간대 동네 골목길을 순찰하는 보안관들입니다. 이들은 어떻게 선정되고, 어떻게 신청할 수 있으며, 어떤 활동을 하는지 궁금하시죠? 그럼 자세히 알아볼까요?
![](https://blog.kakaocdn.net/dn/LWZGD/btsswg1KJJj/y3PzpuplcWWsIBNdLvwm1k/img.png)
유용한 정보 모음 |
✅2023년 주휴수당 계산 방법(계산기) 및 조건 알아보기 👈
✅에어컨 전기 요금 낮추는 방법, 여름철 전기세 걱정 끝! 👈
✅주택임대차 신고 | 확정일자 | 신고방법 | 신고시스템 | 신고대상 | 과태료 | 총정리 👈
안심마을보안관이란?
안심마을보안관은 2021년부터 서울시에서 시행한 사업으로, 전직 경찰, 무술 유단자 등으로 구성된 보안관이 2인 1조로 심야시간대 (21시~다음날 2시 30분) 동네 골목 곳곳을 누비며 위급상황이 일어나진 않는지 범죄가 발생하진 않는지 순찰하는 지킴이 활동을 말합니다. 올해부터는 시민이 필요로 하는 장소에 안심마을보안관을 배치합니다.
안심마을보안관은 어떻게 신청할 수 있나요?
서울시민이라면 누구나 안심마을보안관이 필요한 지역을 추천할 수 있습니다. 올해는 1월 27일부터 2월 13일까지 1인가구 포털을 통해 신청 받습니다. 자세하고 명확한 설치장소 (도로명 주소, 지번) 등을 기술하고, 대상지 신청사유를 포함해 작성하면 됩니다. 접수된 곳에 대해 서울경찰청 및 서울시 자치경찰위원회, 자치구 등과 협의를 거쳐 2월 중 최종 대상구역을 선정할 예정입니다.
안심마을보안관은 어떤 활동을 하나요?
안심마을보안관의 주요 업무는 방범순찰과 생활안전대응으로 나뉩니다. 방범순찰은 순찰 중 범죄나 위급상황이 발생하면 관할 경찰서에 즉시 신고해 신속하게 대처하는 것이고, 생활안전대응은 자치구와 함께 점검‧신고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작년에는 주택 가스누출 예방, 위험시설물 조치, 부탄가스 폭발 화재신고, 밤길 귀가동행, 주취자 지구대 인계 등 총 2,515건의 활동을 펼쳤습니다.
안심마을보안관의 효과는 어떤가요?
안심마을보안관의 활동은 서울시민들의 안전파수꾼 역할을 톡톡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작년에 시범사업으로 운영된 15개소에서는 사업 만족도가 92.3%로 조사되었습니다. 또한, 안심마을보안관이 활동한 지역의 범죄발생률은 전년대비 8.6% 감소하였으며, 특히 절도와 폭력범죄는 각각 14.1%, 9.7% 감소하였습니다. 이러한 효과는 안심마을보안관의 존재감과 활동성이 범죄자에게 위축감을 주고, 주민들에게는 안정감을 주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심이 앱
- 걸어갈 때 : CCTV가 나를 지켜보고, 위급할 때 간단한 동작으로 경찰 출동도 돼요
- 택시탈 때 : 언제 어디에서 타고 어디를 지나는지 보호자와 관제센터가 알 수 있어요
○ ‘안심이 앱’ 설치 후 사용
※ 안심이 앱 다운로드 받기
- 안드로이드용
- IOS용
안심장비 지원
- 1인가구 : 스마트초인종, 가정용 CCTV 등 ‘안심홈세트’ 지원- 여성 1인점포 : 안심 비상벨 등 지원
- 스토킹범죄 피해자 : 스마트초인종, 가정용 CCTV, 안심비상벨, 디지털도어록 지원
(지원 여부, 기준, 물품 등은 자치구별로 다름)
○ 신청 : 다산콜센터(02-120), 자치구 상황실
안심홈세트 지원 접수 중인 자치구 |
강북구, 노원구, 마포구 |
1인점포 지원 접수 중인 자치구 |
성동구, 동작구, 관악구, 송파구 |
여러분, 이상으로 '안심마을보안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우리 동네에도 안심마을보안관이 필요하다면 꼭 신청해 보세요. 그럼 다음에 또 만나요. 이것은 빙이었습니다. 안녕히 계세요!
![](https://blog.kakaocdn.net/dn/wc58Q/btssgt3a1B4/B4r09BDokUP1n9oqTfCr4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pLuqz/btssimCfpgl/WJllnjNW6VkkCLuAR9Jptk/img.png)
'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형 육아휴직 장려금이란? 서울시에서 육아휴직한 부모에게 지원하는 새로운 제도 (0) | 2023.08.29 |
---|---|
서울형 산후조리경비 지원 사업, 출산 후 건강 회복에 도움이 될까? (0) | 2023.08.29 |
서울형 아이돌봄비 신청방법과 지원금액, 지원대상 알아보기 (0) | 2023.08.29 |
서울시 청년월세 2차 추가모집, 월 20만원씩 12개월 지원! 신청방법과 조건은? (1) | 2023.08.29 |
tvN 스포츠 채널 번호와 편성표를 알아보자! (1) | 2023.08.28 |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 신청 방법과 주의사항 - 온라인, 전화, 방문 신청 절차와 필요한 서류 (0) | 2023.08.28 |
기초연금과 노령연금 차이, 어떻게 다른가? 수급자격, 재원, 수령액 비교 (1) | 2023.08.28 |
국민연금 수령액 조회하기 - 온라인, 전화, 방문 방법과 예상수령액 계산법 (0) | 2023.08.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