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수령액 조회하기 - 온라인, 전화, 방문 방법과 예상수령액 계산법 국민연금 수령액이란 무엇인가? 국민연금 수령액이란 국민연금 가입자가 노령, 장애, 유족 등의 사유로 연금을 받을 때 매월 지급되는 금액을 말합니다. 국민연금 수령액은 개인의 납부기간, 납부액, 연금종류, 연금시작나이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국민연금 수령액은 매년 가격상승률에 따라 조정되며, 최저보장수준이 보장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q8am9/btssgG8xSDg/wkrQFoiHZAQv97BEla5Xg0/img.png)
유용한 정보 모음 |
✅2023년 주휴수당 계산 방법(계산기) 및 조건 알아보기 👈
✅에어컨 전기 요금 낮추는 방법, 여름철 전기세 걱정 끝! 👈
✅주택임대차 신고 | 확정일자 | 신고방법 | 신고시스템 | 신고대상 | 과태료 | 총정리 👈
국민연금 수령액을 온라인으로 조회하는 방법
국민연금 수령액을 온라인으로 조회하려면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나 스마트폰 앱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나 앱에서는 주민등록번호와 공인인증서 또는 휴대폰 인증으로 로그인한 후, ‘내 연금 알아보기’ 메뉴에서 '현재 연금수급자’나 '미래 연금수급자’를 선택하여 자신의 상황에 맞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연금수급자는 실제로 받고 있는 연금액과 연간 지급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미래 연금수급자는 예상되는 연금시작나이와 연금종류, 연금액을 계산하고 시뮬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액을 전화로 조회하는 방법
국민연금 수령액을 전화로 조회하려면 국민연금 콜센터에 전화하면 됩니다. 콜센터에서는 주민등록번호와 생년월일 등의 개인정보를 확인한 후, 자신의 상황에 맞는 안내를 해줍니다. 현재 연금수급자는 실제로 받고 있는 연금액과 연간 지급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미래 연금수급자는 예상되는 연금시작나이와 연금종류, 연금액을 계산하고 시뮬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액을 방문으로 조회하는 방법
국민연금 수령액을 방문으로 조회하려면 가까운 국민연금 지사나 보험가입센터에 방문하면 됩니다. 방문할 때는 신분증과 연금수급자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현재 연금수급자는 실제로 받고 있는 연금액과 연간 지급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미래 연금수급자는 예상되는 연금시작나이와 연금종류, 연금액을 계산하고 시뮬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내연금 알아보기 - 국민을 든든하게 연금을 튼튼하게 (nps.or.kr)
![](https://blog.kakaocdn.net/dn/s0VlA/btsshshSn1Y/JppSdzwDkdgqNbZjPsM790/img.png)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계산하는 방법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계산하려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노령연금: (기본연금액 + 개인연금액) x 감액률 x 가산률
- 장애연금: (기본연금액 + 개인연금액) x 장애등급별 비율
- 유족연금: (기본연금액 + 개인연금액) x 유족등급별 비율
여기서,
- 기본연금액: 국민연금 가입자 전체의 평균 납부액에 따라 결정되는 금액으로, 매년 가격상승률에 따라 조정됩니다.
- 개인연금액: 개인의 납부기간과 납부액에 따라 결정되는 금액으로, 납부기간이 길고 납부액이 많을수록 높아집니다.
- 감액률: 연금시작나이에 따라 결정되는 비율로, 연금시작나이가 낮을수록 낮아집니다. 2023년 기준으로, 65세가 100%, 60세가 70%, 55세가 42.5%입니다.
- 가산률: 추가납부기간에 따라 결정되는 비율로, 추가납부기간이 길수록 높아집니다. 2023년 기준으로, 추가납부기간이 없으면 100%, 1년이면 102.4%, 2년이면 105%, 3년이면 107.7%, 4년이면 110.6%, 5년 이상이면 113.7%입니다.
- 장애등급별 비율: 장애의 정도에 따라 결정되는 비율로, 장애가 심할수록 높아집니다. 2023년 기준으로, 1등급은 100%, 2등급은 80%, 3등급은 60%, 4등급은 40%, 5등급은 20%, 6등급은 10%입니다.
- 유족등급별 비율: 유족의 관계에 따라 결정되는 비율로, 유족의 수와 가족관계에 따라 다릅니다. 2023년 기준으로, 배우자만 있는 경우는 60%, 배우자와 자녀가 있는 경우는 배우자에게 40%, 자녀에게 20%씩, 배우자가 없고 자녀만 있는 경우는 자녀에게 각각 균등하게 분배됩니다.
조회하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액은 개인의 납부기간, 납부액, 연금종류, 연금시작나이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국민연금 수령액을 조회하려면 온라인, 전화, 방문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계산하려면 공식을 사용하거나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액은 매년 가격상승률에 따라 조정되며, 최저보장수준이 보장됩니다. 국민연금 수령액은 노후생활의 중요한 수입원이므로, 잘 관리하고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심마을 보안관, 안심이 앱, 서울시민이라면 꼭 알아야 할! 신청방법부터 활동내용까지 한눈에 보기 (0) | 2023.08.29 |
---|---|
tvN 스포츠 채널 번호와 편성표를 알아보자! (1) | 2023.08.28 |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 신청 방법과 주의사항 - 온라인, 전화, 방문 신청 절차와 필요한 서류 (0) | 2023.08.28 |
기초연금과 노령연금 차이, 어떻게 다른가? 수급자격, 재원, 수령액 비교 (1) | 2023.08.28 |
60대 정상 맥박수 건강을 위한 맥박 관리법과 주의사항 (0) | 2023.08.28 |
연령별 정상혈압 얼마인가? 혈압 관리를 위한 팁 (0) | 2023.08.28 |
직장인도 개인사업자 등록이 가능할까? 사업자등록 방법과 장단점 총정리 (0) | 2023.08.28 |
다자녀 특별공급 기준변화, 2자녀도 다자녀! 공공분양주택 특공 혜택 받는 방법 청약 신청 서류 (0) | 2023.08.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