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제주도 사투리의특징과 유래종류와 예시 모음.zip

eddyj 2023. 8. 9.
반응형

제주도 사투리란? 제주도 사투리는 한국어의 한 방언으로, 제주도에서 사용되는 말입니다. 제주도는 한반도 본토와는 다른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그 영향으로 제주도 사투리는 표준어와는 많은 차이를 보입니다. 제주도 사투리는 발음, 어휘, 문법 등 여러 면에서 표준어와 구별되며, 독특하고 재미있는 표현들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혼저옵서예’는 ‘어서오세요’, '좋쑤꽈’는 ‘좋습니까’, '감저’는 ‘고구마’, '빙애기’는 ‘병아리’ 등의 의미로 쓰입니다.

 

유용한 정보 모음

2023년 주휴수당 계산 방법(계산기) 및 조건 알아보기  👈

에어컨 전기 요금 낮추는 방법, 여름철 전기세 걱정 끝!  👈

주택임대차 신고 | 확정일자 | 신고방법 | 신고시스템 | 신고대상 | 과태료 | 총정리  👈

이사전 체크리스트 확인하고 좋은 이사 되세요  👈

 

 

 

제주도 사투리의 특징과 유래

제주도 사투리의 특징과 유래 제주도 사투리의 가장 큰 특징은 소리가 부드럽고 퍼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는 제주도의 지형과 기후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바람이 강하고 산이 많아서 소리가 잘 전달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또한, 제주도 사투리는 발음이 전형적인 한국어와는 달리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ㅃ’ 소리를 '빼’라고 발음하는 것이 그 예입니다.

 

제주도 사투리의 유래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가지 설이 있습니다. 하나는 고대 백제어와 관련된 것으로, 백제가 멸망한 후 남아있던 백제인들이 제주도로 이동하여 그들의 언어가 혼합되었다는 것입니다. 다른 하나는 고대 신라어와 관련된 것으로, 신라가 통일한 후 신라인들이 제주도로 이동하여 그들의 언어가 혼합되었다는 것입니다. 또 다른 하나는 고대 고구려어와 관련된 것으로, 고구려가 멸망한 후 남아있던 고구려인들이 제주도로 이동하여 그들의 언어가 혼합되었다는 것입니다. 이 외에도 몽골어나 중국어 등 다른 외래어와의 접촉에 의해 변화되었다는 설도 있습니다.

 

제주도 사투리의 종류와 예시

제주도 사투리의 종류와 예시 제주도 사투리는 크게 인사말,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관형사, 조사, 어미 등 여러 품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각의 품사에는 표준어와는 다른 의미나 형태를 가진 말들이 있습니다. 다음은 제주도 사투리의 몇 가지 예시입니다.

  • 인사말: 제주도 사투리에서는 문장 끝에 자주 오는 단어로 ‘~서예’, ‘~쑤꽈’, ‘~쿠꽈’, ‘~양’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각각 ‘어서오세요’, ‘있습니까’, ‘하시겠습니까’, '입니다’나 '하세요’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혼저옵서예’는 ‘어서오세요’, '좋쑤꽈’는 ‘좋습니까’, '낼 오쿠꽈’는 ‘내일 오시겠습니까’, '제주엔 참 종거 만쑤다양’은 '제주에는 참 좋은 것이 많습니다’라는 뜻입니다.
  • 명사: 제주도 사투리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명사들이 표준어와는 다르게 쓰입니다. 예를 들어, '감저’는 ‘고구마’, '지실’은 ‘감자’, '빙애기’는 ‘병아리’, '돗괴기’는 ‘돼지고기’, '몰괴기’는 ‘물고기’, '하르방’은 ‘할아버지’, '할망’은 ‘할머니’, '아방’은 ‘아버지’, '어멍’은 ‘어머니’, '오라방’은 ‘오빠’, '성님’은 ‘형’, '성’은 ‘언니’, '아시’는 ‘동생’ 등의 의미로 쓰입니다.
  • 동사: 제주도 사투리에서는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들이 표준어와는 다르게 쓰입니다. 예를 들어, '~호다’라는 표현이 있는데, 이는 '~하다’라는 의미로, 본인이 느낀 감정이나 심정을 표현할 때 쓰입니다. 예를 들어, '가베또롱 호다’는 ‘가뿐하다’, '금착 호다’는 ‘조마조마하다’, '몰치락 호다’는 ‘포동포동하다’, '왁왁 호다’는 '놀랐다’라는 뜻입니다
  • 형용사: 제주도 사투리에서는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들이 표준어와는 다르게 쓰입니다. 예를 들어, '또라이’는 ‘멋있다’, '또또라이’는 ‘아주 멋있다’, '또또또라이’는 ‘정말 아주 멋있다’, '콩콩’은 ‘맛있다’, '콩콩콩’은 ‘아주 맛있다’, '콩콩콩콩’은 ‘정말 아주 맛있다’, '모시모시’는 ‘예쁘다’, '모시모시모시’는 ‘아주 예쁘다’, '모시모시모시모시’는 ‘정말 아주 예쁘다’ 등의 의미로 쓰입니다 .
  • 부사: 제주도 사투리에서는 방법이나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들이 표준어와는 다르게 쓰입니다. 예를 들어, '꼬꼬꼬’는 ‘계속’, '꼬꼬꼬꼬꼬’는 ‘오래오래’, '빠빠빠’는 ‘빨리’, '빠빠빠빠빠’는 ‘아주 빨리’, '바바바’는 ‘천천히’, '바바바바바’는 ‘아주 천천히’, '찌찌찌’는 ‘조금’, '찌찌찌찌찌’는 ‘아주 조금’, '많많많’은 ‘많이’, '많많많많많’은 ‘아주 많이’ 등의 의미로 쓰입니다 .
  • 관형사: 제주도 사투리에서는 명사를 수식하는 관형사들이 표준어와는 다르게 쓰입니다. 예를 들어, '~거라니까’라는 표현이 있는데, 이는 '~한 것 같다’라는 의미로, 추측이나 의심을 나타낼 때 쓰입니다. 예를 들어, '가베거라니까’는 ‘가뿐한 것 같다’, '금착거라니까’는 ‘조마조마한 것 같다’, '몰치락거라니까’는 ‘포동포동한 것 같다’, '왁왁거라니까’는 '놀란 것 같다’라는 뜻입니다.
  • 조사: 제주도 사투리에서는 명사와 다른 품사를 연결하는 조사들이 표준어와는 다르게 쓰입니다. 예를 들어, '~꽈’라는 표현이 있는데, 이는 '~에게’나 '~에게서’라는 의미로, 인간이나 동물에 대한 관계를 나타낼 때 쓰입니다. 예를 들어, '아방꽈 물어보다’는 ‘아버지에게 물어보다’, '빙애기꽈 밥 주다’는 ‘병아리에게 밥 주다’, '오라방꽈 선물 받다’는 '오빠에게서 선물 받다’라는 뜻입니다.
  • 어미: 제주도 사투리에서는 문장의 종결이나 연결을 나타내는 어미들이 표준어와는 다르게 쓰입니다. 예를 들어, '~옵서예’라는 표현이 있는데, 이는 '~하시네요’나 '~하십니다’라는 의미로, 존경이나 공손함을 나타낼 때 쓰입니다. 예를 들어, '혼저옵서예’는 ‘어서오시네요’, '좋쑤꽈 옵서예’는 ‘좋으시네요’, '감저 먹옵서예’는 '고구마 드십니다’라는 뜻입니다.

 

제주도 사투리를 배우고 즐기는 방법 제주도 사투리를 배우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추천합니다.

  • 제주도 사투리 사전이나 책을 참고하세요. 제주도 사투리의 발음, 어휘, 문법 등을 자세하게 설명해주는 사전이나 책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주도 방언사전]이나 [제주도 방언의 이해] 등이 있습니다.
  • 제주도 사투리를 사용하는 영화나 드라마, 음악 등을 감상하세요. 제주도 사투리의 실제 사용 예를 듣고 따라할 수 있는 영화나 드라마, 음악 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바람의 화원]이나 [제주도의 푸른 밤], [제주도의 흑돼지] 등이 있습니다.
  • 제주도 사투리를 사용하는 친구나 선생님을 만들어보세요. 제주도 사투리를 잘하는 친구나 선생님과 대화하면서 제주도 사투리를 배울 수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제주도 사투리 교환 친구나 선생님을 찾아보세요. 예를 들어, [제주방언교실]이나 [제주방언카페] 등이 있습니다.

제주도 사투리는 한국어의 아름다운 방언 중 하나입니다. 제주도 사투리를 배우고 즐기면, 제주도의 역사와 문화, 사람들의 마음을 더 잘 이해하고 느낄 수 있습니다. 제주도 사투리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지금 바로 시작해보세요!

사투리모음

충청도 사투리 모음 관련해서 알아보자!

강원도 사투리 모음

경상도 사투리 모음 zip

전라도 사투리 모음 zip

댓글

제휴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지만, 구매자에게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