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 장시간 근로 개선과 고용 창출의 두 마리 토끼를 잡다

eddyj 2023. 10. 13.
반응형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은 근로시간 단축, 교대제 개편, 일자리 순환제 등을 통해 장시간 근로를 개선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입니다. 2023년 10월 기준, 총 1,92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고 있으며, 2023년 말까지 20만 명 이상의 고용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 장시간 근로 개선과 고용 창출의 두 마리 토끼를 잡다

 

1.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의 개요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은 크게 다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교대제 개편: 기존의 2~3조 교대를 4조 이하로 개편하여, 근로시간 단축과 연간 휴일수를 증가시키는 방식입니다.
  • 실근로시간 단축: 근로시간 단축을 통해 생기는 빈 일자리에 신규 근로자를 채용하는 방식입니다.
  • 일자리 순환제: 1년 이상 재직 근로자에게 30일 이상의 유급휴가를 부여하여, 이 기간 동안 신규 근로자를 채용하는 방식입니다.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

 

2.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의 지원 내용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의 지원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신규채용 근로자 인건비 지원: 제도 도입 전, 후 근로자수를 비교하여 증가된 근로자수 1명당 월 80만원씩 최대 2년간 지원합니다.
  • 무상설비투자비 지원: 신규채용 근로자 근무에 필요한 설비투자비의 1/3 범위 내에서 최대 1,000만원을 지원합니다.
  • 설비투자비 융자지원: 신규채용 근로자 근무에 필요한 설비투자비의 2/3 범위 내에서 최대 50억원을 지원합니다.

3.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의 지원 대상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의 지원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중소기업: 50인 미만의 중소기업
  • 중견기업: 300인 미만의 중견기업
  • 대규모기업: 300인 이상 대규모기업

4.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의 신청 절차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1.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여 작성합니다.
  2. 신청서를 작성하여 고용노동부에 제출합니다.
  3. 고용노동부에서 현장 실사를 실시합니다.
  4. 실사 결과에 따라 지원 여부가 결정됩니다.

결론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은 장시간 근로 개선과 고용 창출의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효과적인 정책입니다. 본 사업을 통해 근로자와 기업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사회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추가 내용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은 근로시간 단축과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좋은 정책입니다. 본 사업을 통해 근로자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기업의 경쟁력이 강화되기를 기대합니다.

실제 사례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을 통해 성공한 사례를 몇 가지 소개합니다.

  • A 기업: 2조 교대를 3조 교대로 개편하여, 근로시간 단축과 연간 휴일수를 증가시켰습니다. 또한, 생기는 빈 일자리에 신규 근로자를 채용하여 100명의 일자리를 창출했습니다.
  • B 기업: 1년 이상 재직 근로자에게 30일 이상의 유급휴가를 부여하여, 이 기간 동안 신규 근로자를 채용하여 50명의 일자리를 창출했습니다.
  • C 기업: 신규채용 근로자 근무에 필요한 설비투자비에 대해 무상설비투자비를 지원받아, 10억 원의 설비투자를 진행했습니다. 또한, 신규 채용 근로자 인건비에 대해 지원을 받아, 100명의 일자리를 창출했습니다.

댓글

제휴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지만, 구매자에게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