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은 근로시간 단축, 교대제 개편, 일자리 순환제 등을 통해 장시간 근로를 개선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입니다. 2023년 10월 기준, 총 1,92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고 있으며, 2023년 말까지 20만 명 이상의 고용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 장시간 근로 개선과 고용 창출의 두 마리 토끼를 잡다
1.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의 개요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은 크게 다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교대제 개편: 기존의 2~3조 교대를 4조 이하로 개편하여, 근로시간 단축과 연간 휴일수를 증가시키는 방식입니다.
- 실근로시간 단축: 근로시간 단축을 통해 생기는 빈 일자리에 신규 근로자를 채용하는 방식입니다.
- 일자리 순환제: 1년 이상 재직 근로자에게 30일 이상의 유급휴가를 부여하여, 이 기간 동안 신규 근로자를 채용하는 방식입니다.
2.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의 지원 내용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의 지원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신규채용 근로자 인건비 지원: 제도 도입 전, 후 근로자수를 비교하여 증가된 근로자수 1명당 월 80만원씩 최대 2년간 지원합니다.
- 무상설비투자비 지원: 신규채용 근로자 근무에 필요한 설비투자비의 1/3 범위 내에서 최대 1,000만원을 지원합니다.
- 설비투자비 융자지원: 신규채용 근로자 근무에 필요한 설비투자비의 2/3 범위 내에서 최대 50억원을 지원합니다.
3.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의 지원 대상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의 지원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중소기업: 50인 미만의 중소기업
- 중견기업: 300인 미만의 중견기업
- 대규모기업: 300인 이상 대규모기업
4.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의 신청 절차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여 작성합니다.
- 신청서를 작성하여 고용노동부에 제출합니다.
- 고용노동부에서 현장 실사를 실시합니다.
- 실사 결과에 따라 지원 여부가 결정됩니다.
결론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은 장시간 근로 개선과 고용 창출의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효과적인 정책입니다. 본 사업을 통해 근로자와 기업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사회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추가 내용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은 근로시간 단축과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좋은 정책입니다. 본 사업을 통해 근로자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기업의 경쟁력이 강화되기를 기대합니다.
실제 사례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을 통해 성공한 사례를 몇 가지 소개합니다.
- A 기업: 2조 교대를 3조 교대로 개편하여, 근로시간 단축과 연간 휴일수를 증가시켰습니다. 또한, 생기는 빈 일자리에 신규 근로자를 채용하여 100명의 일자리를 창출했습니다.
- B 기업: 1년 이상 재직 근로자에게 30일 이상의 유급휴가를 부여하여, 이 기간 동안 신규 근로자를 채용하여 50명의 일자리를 창출했습니다.
- C 기업: 신규채용 근로자 근무에 필요한 설비투자비에 대해 무상설비투자비를 지원받아, 10억 원의 설비투자를 진행했습니다. 또한, 신규 채용 근로자 인건비에 대해 지원을 받아, 100명의 일자리를 창출했습니다.
'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급여, 얼마나 알고 계세요? (0) | 2023.10.14 |
---|---|
장년근로시간단축 사업주, 이렇게 하면 좋아요! (0) | 2023.10.13 |
2023년 청년 추가고용장려금, 대상과 신청방법 정리 (0) | 2023.10.13 |
2023년 청년추가고용장려금, 어떻게 신청할까? (0) | 2023.10.13 |
일자리함께하기 지원금, 기업과 근로자 모두를 위한 지원금 (0) | 2023.10.13 |
2023년 신중년 적합직무 고용지원금, 신청 대상은? (0) | 2023.10.13 |
특별고용촉진 장려금 지원대상확인서 발급 방법 및 활용 (0) | 2023.10.13 |
2023년 특별고용촉진 장려금, 사업장과 구직자 모두에게 혜택! (0) | 2023.10.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