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청년 K-패스 도입, 청년 교통비 부담 줄여줄 'K-패스’란?

eddyj 2023. 8. 3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4년 예산안에 포함된 청년 교통비 부담을 줄여줄 'K-패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K-패스는 내년 7월부터 도입될 예정인 대중교통 통합정기권으로, 월 21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일정 비율의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청년과 저소득층은 더 높은 할인율을 받아 대중교통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그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유용한 정보 모음

2023년 주휴수당 계산 방법(계산기) 및 조건 알아보기  👈

에어컨 전기 요금 낮추는 방법, 여름철 전기세 걱정 끝!  👈

주택임대차 신고 | 확정일자 | 신고방법 | 신고시스템 | 신고대상 | 과태료 | 총정리  👈

이사전 체크리스트 확인하고 좋은 이사 되세요  👈

 

 

 

청년 K-패스 도입 K-패스란 무엇인가?

K-패스는 한국형 대중교통 통합정기권의 약자로, 내년 하반기부터 시행될 예정입니다. K-패스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알뜰교통카드를 보완하고 확대한 제도로, 앱 설치 없이 교통카드만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는 이동 거리에 따라 마일리지를 적립하는 방식이었으나, K-패스는 이동 거리와 상관없이 대중교통 이용금액의 일정 비율을 적립하는 방식입니다. 적립된 금액은 다음 달에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K-패스의 혜택은 얼마나 되나?

K-패스의 혜택은 이용자의 연령과 소득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 시민은 월 21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20%의 금액을 적립하고, 월 최대 60회까지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월 평균 10만원의 대중교통비를 지출하는 경우, 2만원을 적립하고 다음 달에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연간으로 환산하면 24만원의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청년 (만 19~34세)은 월 21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30%의 금액을 적립하고, 월 최대 60회까지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월 평균 10만원의 대중교통비를 지출하는 경우, 3만원을 적립하고 다음 달에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연간으로 환산하면 36만원의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저소득층은 월 21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53.3%의 금액을 적립하고, 월 최대 60회까지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월 평균 10만원의 대중교통비를 지출하는 경우, 5만3300원을 적립하고 다음 달에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연간으로 환산하면 63만9600원의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카드사의 추가 할인 10%까지 더해지면 이용료 대비 혜택 비율은 더 커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청년이 월 평균 10만원의 대중교통비를 지출하는 경우, 카드사 할인까지 적용하면 4만원을 적립하고 다음 달에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연간으로 환산하면 48만원의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K-패스를 이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K-패스를 이용하려면 별도의 신청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교통카드를 그대로 사용하면 됩니다. K-패스는 서울 등 수도권 외에도 희망하는 모든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될 예정입니다. 따라서 서울에서 탔든 부산에서 탔든 상관없이 합산해 월 21회만 초과하면 환급이 됩니다.

 

K-패스는 내년 하반기부터 시행될 예정이므로, 그 전까지는 알뜰교통카드를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에서 K-패스로 전환되어도 기존 이용자는 K-패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조치될 예정입니다.

 

K-패스는 청년과 저소득층에게 대중교통비 부담을 줄여주고, 대중교통 이용을 촉진하는 제도입니다. K-패스 도입으로 교통비 절감과 미세먼지 감축, 교통체증 완화 등 다양한 효과가 기대됩니다. K-패스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내년 하반기부터 꼭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댓글

제휴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지만, 구매자에게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