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토요일 근무시 수당, 어떻게 계산할까?

eddyj 2023. 10. 14.
반응형

토요일 근무시 수당 토요일은 주5일 근무제에서 휴무일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사업장에서 토요일을 휴일로 지정하지 않고 휴무일로 지정했거나, 근로자가 자발적으로 토요일에 근무하는 경우, 토요일 근무에 대한 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토요일 근무시 수당, 어떻게 계산할까?

 

1. 토요일이 휴일인지 휴무일인지

토요일이 휴일인지 휴무일인지에 따라 토요일 근무에 대한 수당이 달라집니다.

  • 휴일: 근로자의 근로의무가 없는 날로, 법정공휴일과 근로자의 날이 해당합니다. 휴일에 근무한 경우, 8시간 이내 근무 시 통상임금의 50%, 8시간 초과 근무 시 통상임금의 100%를 휴일근로수당으로 지급해야 합니다.
  • 휴무일: 근로자의 근로의무가 있는 날로, 일반적으로 월~금요일을 소정근로일로 지정합니다. 휴무일에 근무한 경우, 8시간 이내 근무 시 통상임금의 50%, 8시간 초과 근무 시 통상임금의 150%를 연장근로수당으로 지급해야 합니다.

자세한정보는 아래 사이트에서 꼭! 확인하세요

토요일 근무시 수당

 

2. 토요일 근무시 수당 계산 방법

토요일 근무에 대한 수당은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 휴일근로수당: (통상임금 x 근로시간 x 1.5) + (통상임금 x 근로시간 x 1)
  • 연장근로수당: (통상임금 x 근로시간 x 1.5)

3. 토요일 근무시 수당 청구 방법

토요일 근무에 대한 수당은 근로기준법 제56조에 따라 근로자가 청구할 수 있습니다.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근로계약서, 근무일지, 임금대장 등 근무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하여 수당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4. 토요일 근무시 수당 관련 유의사항

토요일 근무시 수당 관련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노사 합의에 따라 휴일근로수당을 지급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휴일근로수당과 연장근로수당은 중복하여 지급할 수 없습니다.
  • 토요일 근무가 시간외근로에 해당하는 경우, 시간외근로수당도 지급해야 합니다.

자세한정보는 아래 사이트에서 꼭! 확인하세요

 

결론

토요일 근무시 수당은 토요일이 휴일인지 휴무일인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근로자는 자신의 근로계약서, 근무일지, 임금대장 등 근무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하여 수당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추가 내용

토요일 근무시 수당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도 유의해야 합니다.

  • 토요일이 법정공휴일과 겹치는 경우, 휴일근로수당이 아닌 휴일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 토요일이 휴일로 지정된 경우에도, 근로자가 자발적으로 토요일에 근무하는 경우, 휴일근로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 토요일 근무시 연장근로수당이 발생하는 경우, 시간외근로수당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이 토요일 근무시 수당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댓글

제휴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지만, 구매자에게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