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공무원 시간외 근무수당 계산방법, 이렇게 알아보세요!

eddyj 2023. 10. 14.
반응형

공무원 시간외 근무수당 계산방법 공무원은 정규 근무시간 외에 근무한 경우, 시간외 근무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시간외 근무수당은 근로자의 노고를 보상하고, 근로자의 근로 의욕을 높이기 위한 제도입니다. 본 글에서는 공무원 시간외 근무수당의 계산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공무원 시간외 근무수당 계산방법, 이렇게 알아보세요!

 

1: 시간외 근무수당의 지급대상

시간외 근무수당의 지급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가공무원법 제2조제2호에 따른 국가공무원
  • 지방공무원법 제2조제2호에 따른 지방공무원
  • 특별지방공무원법 제2조제2호에 따른 특별지방공무원
  • 기타 법령에 따라 공무원으로 인정된 사람

자세한정보는 아래 사이트에서 꼭! 확인하세요

공무원 시간외 근무수당 계산방법

 

2: 시간외 근무수당의 지급기준

시간외 근무수당은 매시간에 대해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시간외 근무수당 = 봉급기준액 × 150%

여기서, 봉급기준액은 해당 공무원에게 적용되는 기준호봉 봉급액의 55%입니다.

3: 시간외 근무수당의 지급절차

시간외 근무수당은 해당 공무원이 근무한 후,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1. 시간외 근무명령서 작성
  2. 시간외 근무명령서 승인
  3. 시간외 근무수당 청구
  4. 시간외 근무수당 지급

4: 시간외 근무수당의 지급제한

시간외 근무수당은 다음과 같은 경우 지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휴일 근무에 대한 시간외 근무수당은 휴일근무수당과 중복하여 지급되지 않습니다.
  • 휴가·공가·출장 등에 따라 정규 근무시간이 단축된 경우, 그 단축된 시간에 대한 시간외 근무수당은 지급되지 않습니다.
  • 시간외 근무명령이 1일 4시간, 월 57시간을 초과한 경우, 그 초과분에 대한 시간외 근무수당은 지급되지 않습니다.

결론

공무원 시간외 근무수당은 근로자의 노고를 보상하고, 근로자의 근로 의욕을 높이기 위한 제도입니다. 공무원으로 근무하고 있다면, 시간외 근무수당의 지급대상과 지급기준을 정확히 알고, 정당한 수당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자세한정보는 아래 사이트에서 꼭! 확인하세요

 

추가내용

  • 시간외 근무수당은 근무일수에 따라 별도의 정액수당이 지급됩니다. 정규 근무일을 기준으로 월간 출근(또는 출장) 근무일수가 15일 이상인 경우에 별도의 시간외 근무명령이나 승인 없이 월 10시간의 시간외 근무수당을 정액으로 지급받습니다. 근무일수가 15일 미만인 경우에는 15일에 미달하는 매 1일마다 15분의 1에 해당하는 금액을 감액해 지급합니다.
  • 시간외 근무수당은 근로소득으로 분류되므로, 근로소득세와 지방소득세가 원천징수됩니다.

이상으로 공무원 시간외 근무수당 계산방법에 대한 블로그 글을 마칩니다.

댓글

제휴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지만, 구매자에게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