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근로기준법 시간외 근무수당, 이렇게 계산하세요

eddyj 2023. 10. 14.
반응형

근로기준법 시간외 근무수당 근로기준법은 근로자의 근로조건을 보호하고 근로자의 권익을 증진하기 위한 법률입니다. 근로기준법에는 근로시간, 휴게시간, 휴일, 휴가, 임금, 해고 등 근로자의 근로조건과 관련된 다양한 규정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시간외 근무수당은 근로자가 법정근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한 경우 지급되는 수당입니다. 시간외 근무수당은 근로자의 노고를 보상하고 근로자의 건강권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되었습니다.

근로기준법 시간외 근무수당, 이렇게 계산하세요

 

1. 시간외 근무수당의 종류

시간외 근무수당은 크게 연장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연장근로수당은 일상적인 근로시간인 1일 8시간, 주 40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한 경우 지급되는 수당입니다. 연장근로수당은 통상임금의 150%를 지급합니다.
  • 휴일근로수당은 휴일에 근무한 경우 지급되는 수당입니다. 휴일근로수당은 연장근로수당의 100%를 지급합니다.
  • 야간근로수당은 오후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6시 사이에 근무한 경우 지급되는 수당입니다. 야간근로수당은 연장근로수당의 50%를 지급합니다.

자세한정보는 아래 사이트에서 꼭! 확인하세요

근로기준법 시간외 근무수당

 

2. 시간외 근무수당의 계산 방법

시간외 근무수당은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시간외 근무수당 = 통상임금 × 시간외 근무시간 × 가산율

  • 통상임금은 근로자가 근로계약에 따라 근무한 시간에 대해 받는 임금을 말합니다.
  • 시간외 근무시간은 법정근로시간인 1일 8시간, 주 40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한 시간을 말합니다.
  • 가산율은 시간외 근무수당을 산정하기 위한 비율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통상임금이 시간당 10,000원인 근로자가 1일 10시간 근무 중 2시간 연장근로를 한 경우, 시간외 근무수당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시간외 근무수당 = 10,000원 × 2시간 × 150% = 30,000원

3. 시간외 근무수당의 지급시기

시간외 근무수당은 원칙적으로 근로를 제공한 다음 달에 지급해야 합니다. 다만, 당월에 지급할 수 있는 경우에는 당월에 지급할 수 있습니다.

4. 시간외 근무수당의 미지급

사용자가 시간외 근무수당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 근로자는 노동위원회에 근로기준법 위반에 대한 구제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정보는 아래 사이트에서 꼭! 확인하세요

 

결론

시간외 근무수당은 근로자가 법정근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한 경우 지급되는 수당입니다. 시간외 근무수당은 근로자의 노고를 보상하고 근로자의 건강권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입니다. 따라서, 근로자는 자신이 받을 수 있는 시간외 근무수당을 정확하게 알고, 사용자에게 정당한 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추가 내용

시간외 근무수당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유의해야 합니다.

  • 근로기준법에서는 연간 12시간의 시간외 근무만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 사용자는 시간외 근무가 필요한 경우 사전에 근로자의 동의를 얻어야 합니다.
  • 시간외 근무는 휴게시간을 포함하여 연속 8시간 이내로만 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는 시간외 근무 시 근로자에게 휴게시간을 적절히 부여해야 합니다.

이러한 사항을 숙지하여 시간외 근무수당에 대한 권리를 보호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댓글

제휴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지만, 구매자에게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 추천 글